본문 바로가기
잡지식

패스트 패션의 출현 배경과 의류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

by fhj.gg 2023. 9. 2.
반응형

패스트 패션이란?

 

 

패스트패션이란 햄버거처럼 빠르고 편리한 패션이라는 의미인 mcfaashion이라는 개념에서 파생되었다. 패스트 패션은 유행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패션상품을 길게는 매달 짧게는 2주 간격으로 소비자들에게 신상품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패스트 패션의 어원, 기원 

 

 맥도널드가 미국 전역에 의류를 판매한 데에서 유래한 단어 mcfashion에서 파생되었다. 매우 짧은 간격으로 신상품을 제공하는것으로 비교적 가격이 싸다.

 

브랜드  ZARA, GAP, UNQLO, H&M 등에서 각각 입고 주기가 주 2회, 시즌 2회, 주 1 회, 매일로 패스트 패션을 선도하고 있다.

 

패스트패션의 번영이유

  • 저렴한 가격 

다른 브랜드의 비해 패스트 패션 브랜드의 상품이 저렴해 일회용성 소비심리가 작용해 수요가 증가하였다.

 

 

  • 패션 브랜드의 급격한 변화

롱에서 솟패딩, 긴팔에서 반팔 셔츠, 시티보이룩에서 y2k 까지 10년도 걸리지 않았다. 이러한 패션의 빠른 유행변화 때문에 패스트패션에 대한 수요에 한 몫한다고 볼 수 있다.

 

환경의 문제 

  • 수질 오염

패스트 패션을 만들기위한 폴리에스테롤에는 플라스틱이 사용된다. 이 옷을 세탁하는 과정에서 미세플라스틱이 떨어져 나온다.

 

  • 토양오염

빠른 교체주기를 가진 옷들은 금방 폐기가 된다.

이러한 옷들은 처리비용이 저렴한 개발도상국으로 수출이 된다. 개발도상국은 이 옷들을 처리할 기술이 부족해서 쓰레기를 내다 버린 채로 방치해 둔다.

 

 

  • 대기 오염

패션 산업은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8~10%를 차지하고 항공과 선박분야에서 배출하는 탄소량 보다 많다

 

이 내용을 처음 접하게 된 책을 추천해 드리고 자 합니다. 바로 <오늘부터 시작하는 탄소중립>이라는 책입니다.  자세한 이야기는 아래 링크에서 하도록 하겠습니다 ㅎㅎ 

https://woojuchjang.tistory.com/27